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MrLazyDev/Earthian

(52)
게을러지지 않고 가슴뛰는 삶을 사는 법 - 인생은 원래 미완성으로 끝난다 게을러진다는 것을 생각하는 것 자체가 이미 게을러지면 안되는 어떤 목적 혹은 계획이 있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말그대로 해야 하는 중요한 것일텐데 우리는 계속해서 게을러지고 일을 뒤로 미루게 되는 것일까?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찾아보아도 유튜브와 구글에 엄청나게 많은 이론과 영상이 있고, 어떻게 시간관리를 해야 하는지 왜 게을러지면 안되는 지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을 구할 수가 있다. 그런데 잠깐 그렇게 하면 되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어도 결국 중요하지 않은 일을 하거나 게임을 하거나 갑자기 영화를 보고 싶다거나, 유튜브를 보게 되는 자신을 보게 되는 일이 많을 것이다. 왜 그럴까? 사실 그것에 대한 진실은 자기 자신이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뭔가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우울한 것이다. 다시 표현하면 자신이 계..
이제야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 지 대충 알 것 같다 오늘 오전까지만 하더라도 도대체 공부할 것이 왜 이렇게 많고,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나, 자료가 부족해서 그런가, 공부하는 것마다 왜 이렇게 다 어려운가 싶은 생각에 좌절감이 들었다. 물론 좌절감이 들었다는 것이 과거처럼 포기하고 싶은 마음까지 드는 것은 아니었다. 그건 굉장한 성장이라고 느꼈다.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는지, 어떻게 공부해야 효과적인지를 고민할 수 밖에 없었다. 지금 내가 공부하는 방식으로는 내가 성장하고 있는 것인지를 명확하게 말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블로그를 통해서 글을 작성하면서 공부를 한다지만, 복붙수준의 글이 되기 쉽상이었고, 나중에 돌아봤을 때는 내 머리속에 남았다고 하기에 어려웠다. 공부해야 할 것들은 많고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그런 고민을 하면서 다양한 공부법들을..
[공부방법]불편함과 두려움을 해결하라 살면서 불편함을 느끼기도 하고, 두려움이라는 것을 느끼기도 하는데, 불편함이나 두려움이라는 것은 둘 다 동일한 근원에서 비롯되는 것을 보게 된다. 불편함은 익숙하지 않은 무언가로부터 비롯되고, 두려움은 알지 못하는 것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익숙하지 않은 것을 할 때, 우리는 불편해지고, 새로운 것을 접할 때 두려움을 느낀다. 마인드셋을 바꿔야 한다. 익숙하지 않은 것을 접할 때 성장할 수 있다는 감각을 느껴야 하고, 새로운 것을 접할 때는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는 것이다. 그래서 불편함이 편안함으로 되어야 하며, 두려움은 걱정없음의 상태로 탈바꿈되어야 한다. 불편함과 새로움을 새로운 기쁨의 표준으로 삼아라. 불편하다면 배울 것이 생겼고, 이해를 깊이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불편한 것과 두려운 ..
A mind for numbers Focusd and Diffuse Mode Since the very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neuroscienists have been making profound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towo different types of networks that the brain switches between-highly attentive states and more relaxed resting state networks. Focused moid thinking is essential for studying math and science. It involves a direct approach to solving problems usi..
마음가짐(태도)와 표현 요즘 들어서는 방이 더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었으면 좋겠고, 화장실로 빛나면 좋겠다. 이불이 깔끔하게 정돈되면 좋겠고, 먼지가 보이지 않으면 좋겠다. 아주 좋은 징조라고 생각하고 있다. 내가 어떤 삶을 살고자 하는가, 어떤 마음으로 살아가고 있는가는 너무나도 중요한 것 같다. 마음이 정갈해야 몸의 자세는 올곧게 되고, 눈빛이 살아나고, 주변환경을 정리하고 자신의 버려지는 시간을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해야할 것만을 남기고, 불필요한 것들을 제거해나가는 삶. 더 많이 알고 싶다. 지난 번에도 말했지만, 내가 모르는 게 너무 많다는 사실을 많이 느끼고 있는 요즘이다. 세상이 어떻게 이렇게 움직이고 있는 지를 알아보고 싶다. 내 부족한 눈으로 보았을 때, 세상은 너무나도 조직적으로 시스테믹하게 움직이고 운영되고..
공부하는 순서 공부해야 할 것들이 하도 많다보니까 우선순위를 정하면서 한다는 것이 상당히 쉽지 않다. 수학, 물리, 코딩, 전자. 기초가 어느 분야든 부족한 상황이다보니, 하나에 집중을 해서 파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한편, 그렇게 하면 추후 컬리지에서 다른 분야를 따라가지 못할까 하는 걱정도 든다. 그러자니 여러개를 동시에 하면 어느 하나도 제대로 하지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긴급도와 중요도에 나누어 우선순위를 나누어 일정을 관리하고 있는 나이지만, 우선순위를 봐도 그것을 그대로 따라가기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이런 진퇴양난의 순간.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 고민을 하다가. 어차피 공부해야 하는 것이라면, 우선은 우선순위를 따라가지 않고 공부하고 싶은 것들을 순서대로 해보기로 했다. 공부하다가 조금 질리면 ..
이제는 집중해야 할 때 지금의 자리에 오기까지 생각한 것들을 꺼내보면 아마 방 전체 공간을 메우고도 남을 것이다. 왜 그렇게 고민하고 생각을 많이 했을까. 물론 당연히도 잘살고 싶고, 효율적으로 살고 싶고, 내 시간은 소중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는 됐다. 더 이상 고민하지 않을 것이다. 이미 충분히 고민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찾았고, 취직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나라도 컬리지도 학과도 신청을 했다. 그럼 이제는 해야 하지 다른 것에 집중이 흩으려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항상 움직이는 생각을 꽉 잡아두지 않으면 언제 어디로 튈 지 모르는 것이 바로 생각이라는 것이다. 지금 데이터 공학자부터 웹 백엔드 개발자를 거쳐 임베디드 개발자가 되고 싶다는 생각까지 왔다. 그리고 학과는 전자공학에까지 왔다. 내가 데이터공학자가..
프로그래머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차이 프로그래머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소프트웨어를 엔지니어링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공학이라는 것이고, 구글링과 카피페이스트가 아니라는 것이다. 구글링이 잘못됐다는 것이 아니라, 그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는 지를 인식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공학이라고 할 때는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것이 있다. 1. 잘 정의된 기술을 사용할 것 2. 잘 정의된 프로세스를 따를 것. 3. 결과가 예측가능해야 할 것. 4. 프로세스는 동일한 프로세스를 따랐을 때 동일한 값이 나와야 한다. 코딩을 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개념으로써 접근해야 한다는 뜻이다.

반응형